2022-2 프로젝트 : PWM 발생기 / 수신기 _ 회로도
1. PWM 발생기
1k로 되어있는 것은 가변저항이다. 딥스위치를 조작해서 저항의 값을 조작할 수 있다.
가변저항의 저항값은 적당한 PWM 신호를 만들기 위해 조절 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다만, 1k로 고정한 상태로 사용한다.
NE555는 저항값을 조절하여 PWM의 Duty Ratio를 설정할 수 있다.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시간의 비율을 조절한다고 보면된다.
2. PWM 수신기
아래 회로도에서 삼상스위치의 ABC는 같은 지점을 의미한다.
이 회로는 PWM 발생기에서 내보내는 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분해한다.
Duty Ratio에 따라 다르게 나오는 전압값을 토대로 신호를 구분하기 때문에 "신호 구분기"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전압값을 구분하기 위해 AD 컨버터(adc 0802) 를 이용한다.
이회로에서 중요한 것은 하나 더 있다.
"Low Pass Filter" 이다. 터미널의 Signal 단을 보면 Low Pass Filter가 달려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의 값을 DC에 어느 정도 근사할 수 있다.
D0-D7은 AD컨버터에서 나오는 Digital 신호이다. PWM 발생기에서 내보내는 신호를 구분하는데 필요한 것은
상위 2 비트 뿐이므로 D7과 D6에서 나오는 신호에 논리 게이트를 달아서 신호를 판별하도록 설계하였다.
논리게이트에서 나온 신호를 바탕으로 10구 LED는 10001000 부터 00010001 까지 총 4개의 표시를 한다.
(10구 LED의 하위 2개는 안씀)
릴레이는 스위치가 켜져 있을 때만 LED의 불이 켜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PWM 발생기의 딥스위치는 10001000 부터 00010001 까지 총 4개의 신호만을 생성한다.
2비트 신호만을 구분하는 수신기이다.
D0-D7부분에 걸린 10k저항은 풀업저항이다. (D0-D7에 걸린 LED 6개의 밝기를 선명하게 하기위함)
3. PWM 발생기 / 수신기 사진
4. 부품
만능기판 x2
LED x6
저항
커패시터 x3
딥스위치 x2
릴레이 x1
삼상 스위치 x1
7405 소자 x1
7408 소자 x1
Adc0802 x1
Ne555소자 x1
다이오드 x2
10구 LED 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