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9

목적어로 동명사/to부정사를 취하는 동사

1. 동명사를 취함 abandon 포기하다 give up 그만두다 quit 그만두다 finish 마치다 avoid 회피하다 evade 회피하다 mind 반대하다 miss 까딱- 할뻔하다. postpone 연기하다 delay 연기하다 defer 연기하다 put off 연기하다 enjoy 즐기다 favor 찬성하다 anticipate 예상하다 stand 견디다. dislike 싫어하다 allow 허락하다 permit 허락하다 admit 인정하다 acknowledge 인정하다 deny 저항하다 resist 저항하다 resent 분노하다 forgive 용서하다 contemplate 심사숙고하다 consider 거료하다 imagine 상상하다 recall 회상하다 appreciate 감사하다 risk -을 무릅쓰..

7_영어/핵심 2024.04.08

복합관계대명사

1. 복합관계대명사 1). whoever (1). 명사절 명사절 : -인(할) 사람은 누구든지 (=anyone who) whoever 다음에는 주어 또는 주격보어 빠져야함. I may give this ring to whoever loves you/ = I may give this ring to anyone who loves you. = I may give this ring to whoever I think loves you. (2). 부사절 부사절 : -인(하는) 누구라도 (=no matter who) whoever 다음에는 주어 또는 주격보어 빠져야함. Whoever she may be, I can't believe her. = No matter who she may be, I can't believ..

7_영어/핵심 2024.03.30

군동사/이어동사/구동사 VS 자동사+전치사

*군동사 하나 이상의 단어가 모여서 복합 동사를 이루는 것. call up wait on look up to make public bring to light take care of fall in love with 동사 + (부사, 전치사,형용사,전치사구, 그외 이들의 조합) *구동사 동사+부사 형태 군동사의 일부분만 해당된다. 구동사는 군동사의 하위 개념. 다만, stand up for , listen in on, center in on 과 같이 동사 + 부사 + 전치사로 되어진 구동사도 있는데 이를 삼어동사라 한다. 동사+(부사/전치사) 는 이어동사라 한다. 이를 보면 군동사 > 구동사 > 이어동사, 삼어 동사 이렇게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문법에서는 구동사 =이어동사=군동사=삼어동사 로 대략 같..

자동사와 타동사

관계대명사 글을 정리하다가 자동사, 타동사에서 의문이 있어서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목적격 관계대명사 부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자동사 뒤에는 명사가 바로 올 수 없다 *단, 자동사 뒤에 전치사를 붙이면 자동사도 목적어도 취할 수 있다. *자동사 + 전치사는 타동사화 된 자동사 라고 하며 *자동사 전치사 명사 구조에서는 명사를 타동사화된 자동사의 목적어 라한다. [자동사 + 전치사구(전치사 + 명사)] - [이어동사(동사 + 부사) : give up, take off, turn off ] 이 두가지의 차이를 알 필요가 있다. (up,on,out,off,in 이런 것들은 부사이기도 하다.) 이어 동사는 동사와 부사 둘사이에 (대)명사를 끼워 넣을 수 있다. : 서로 끈끈한 유대관계이므로 가능 반면, ..

아포스트로피(') 사용법

1. 생략된 글자나 숫자를 대신하여 쓰는 방법 표기를 일부 생략할 때 사용된다. she is = she's I will = I'll 1963= '63 2. 소유격을 나타내는 방법 일반적으로 소유격을 나타낼 명사의 끝단어가 s이면 아포스트포피만 뒤에 붙인다. 아닌 경우에는 s를 붙인다. Tom's watch the horeses' tails boy's boys' Jesus' *s로 끝나는 복수 명사의 경우 samples' qualities 와 같이 s를 더 붙이지 않고 아포스트로피만 쓴다. *s로 끝나지 않는 복수 명사의 경우 mice's와 같이 s를 붙여서 사용한다. *여러 명사의 소유 표현 한가지를 공동 소유하면 이렇게 쓴다. The mouse’s and the hamster’s carrot was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