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9

either와 neither 사용법

1. Either 사용법 (1).[둘 중의 하나]라는 뜻으로 사용 either A or B 수일치 : either는 둘 중 하나만 가리키므로 단수취급. -예시- I would love to go to either France or Italy for our 20 th anniversary. Either of us can do it. Either Tom or Jane would come. Either of them is fine I have either toast or cereal for breakfast. I either play tennis or watch TV A: Do you want pizza or pasta for dinner? B: Either I don't mind. (아무거나. 생각없어) B..

영어 문법을 대하는 자세

영어의 문법이라는 것은 어떻게 보면 이 언어를 쓰고 있는 사람들을 관찰해서 언어의 규칙성을 찾아내서 정립해둔 것이다. 문법나고 사람난 것이 아니라 사람나고 문법난 것..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문법이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이를 제 2외국어로 배우는 사람의 입장은 이와 다르다. 문법을 통해 언어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고 문장을 만들면서 이를 활용하는 능력을 체화한다. 이게 언어를 배우는 과정이다. 다만, 문법으로 언어를 시작함에 있어서 많은 이들이 어려움을 겪는다. 언어에 대한 공부를 해본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품사,시제, 테... 이런 용어는 그닥 와닿지도 않을 뿐더러 거부감마저 들게 한다. 영어를 독학으로 부딪히며 학습한 나이기에 이에 크게 공감하는 바가 있다. 주변에서는..

7_영어 2024.03.25

독립부정사

독립부정사 To tell the truth 사실대로 말하면 To be sure 확실히, 틀림없이 Strange to say 이상한 말이지만 So to speak 말하자면 Needless to say 말할 필요도 없이 To begin(start) with 우선, 무엇보다도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 더욱 더 나쁜 것은 To make matters better 금상첨화/ 더욱 더 좋은 것은 To be honest 정직하게 말하면 Not to mention ~ ~은 말할것도 없이 To be frank (with you) 솔직히 말해서 To make a long story short 간단히 말해서 Lucky to say 운 좋게도 To be brief 요컨데 To conclude 결론..

Would 사용법

Would는 자주 쓰이는 단어이다. 그런데 가정법의 늬앙스인 문장에서는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인 기준) 이 글에서는 Would의 사용법을 정리한다. 가정법 부분을 연계해서 보는 것이 좋다. 1. 용법 (1). will 보다 정중한 요청 would는 will 보다 더 정중한 요청을 할때 쓴다. ex) Would you come here, please? 여기로 좀 와주시겠어요? (2).과거의 불규칙적 습관 과거의 규칙적 습관은 used to로 쓴다. 과거의 불규칙적 습관은 would 쓴다. 이때, sometimes나 often 같은 빈도부사 같이 쓰곤한다. ex)When John was young, he would sometimes travel alone 존이 젊었을 때 종종 혼자서 여행을 다니곤..

7_영어/핵심 2024.03.16

영어 커리큘럼

*문법 : 그래머 헌터 -전체적으로 구조 한번 복습 -취약점 파악 필요. *어휘 : 보카바이블 *독해 : ?? 뭔가 자료가 필요할 듯. *회화 0. 상태 짧은 문장을 말하는 것은 어렵지 않음. 다만, 일반적인 문장에 구를 붙여서 늘리는 문장은 어렵다. 작문 공부하면서 해결할 수 있을 듯 싶다. 또, 일상적인 상황에서 쓰는 말을 잘 모른다. 상황별 쓰는 말들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구동사를 좀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 부분만 해치워도 살만 할 것 같다. +구동사에 대한 생각) 구동사라는게 단순히 전치사의 의미와 동사의 의미를 조합해서 추상적으로 생각하려한다면,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또, 이러한 방식으로 많은 구동사를 익히려 한다면 효율이 좋지않다. 모래를 때려박아서 그 속에서 사금 조금을 얻는 것과 같다..

7_영어 2024.03.16

Chap 2+) 가산기

가산기에는 반가산기, 전가산기 2가지 종류가 있다. 1. 반가산기(Half Adder) 반가산기는 한 자릿수 이진수를 연산한다. 또, 자리 올림 수는 Carry로 출력한다. Inputs Outputs A B Sum Carry 0 0 0 0 1 0 1 0 0 1 1 0 1 1 0 1 Carry = A∙B Sum = A'B + AB' = A⊕B 2. 전가산기(Full Adder) 가산기를 다룰 때 캐리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두 수를 더해져서 한자리 올라가는 값을 말한다. 이때, 아래 자릿수에서 발생한 캐리까지 더하는... 총 3개의 비트를 더하는 논리회로를 전가산기라고 한다. 아래 그림을 보면 반가산기 2개를 이용해서 사용한다. Cout = A∙B+Ci(A⊕B) Sum = A⊕B⊕Ci Inputs Outpu..